안녕하세요 클라이머 감자🥔입니다
Critical force라는 개념이 있어서 가져와 봤습니다
리드를 하시는 분들에게는 도움이 될 거 같아요
오늘은 논문 번역 되도록 그대로 번역해서 보여드리고
다음 포스팅에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은 용어가 등장할 때는
바로 아래에 용어 설명을 첨부 하겠습니다
논문 링크
(PDF) An All-Out Test to Determine Finger Flexor Critical Force in Rock Climbers
1.초록
목적: 손가락 굴근의 피로 저항성(Fatigue resistance of finger flexor)은
클라이밍 성능의 주요 결정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연구는 손가락 굴근 critical force(ff-CF)의 단일 평가와
임계 힘 이상 충격(W’)이 클라이밍 성능
(자기 보고된 스포츠 및 볼더링 클라이밍 능력)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습니다
방법: 129명의 피험자가 주로 사용하는 팔의 ff-CF 평가를 완료했으며,
이는 일련의 리드미컬한 등척성 최대 자발적 수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CF는 테스트 종료 시 평균 힘으로 정의, kg; W’는 CF 이상 충격, kg•s).
결과: ff-CF 프로토콜은 이전의 등척성 임계 토크 및
임계 힘 테스트에서 관찰된 것과
동일한 힘 감소 후 평형 상태에 도달했습니다.
성별을 조정한 선형 회귀 분석 결과,
CF% 체중이 스포츠 클라이밍 성능의 61%와
볼더링 성능의 26%를 설명했으며,
W’ 체중당 값이 스포츠 클라이밍 성능의
7%와 볼더링 성능의 34%를 설명했습니다.
성별 차이를 조정한 후 CF% 체중과 W’ 체중당 값을 결합한 모델은
스포츠 클라이밍 성능의 66%와
볼더링 성능의 44%를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
결론: 결과는 암벽 등반가의 손가락 굴근의 피로 저항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 CF 임계값의 관련성을 보여줍니다.
ff-CF가 스포츠 클라이밍 및 볼더링 능력의 상당한 변동성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고려할 때, 코치들이
운동 내성*(excercise tolerance)을 이해하고
운동 내성 : 특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지속 시간, 그리고 강도와 회복 능력
최적의 훈련 처방을 결정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테스트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서론
암벽 등반은 손가락 굴근(finger flexor)의
반복적인 등척성 수축을 필요로 하며,
이는 중수지관절과 지관절의 굴곡을 담당합니다.
이러한 수축은 전완 근육에서
규칙적인 허혈*(ischemia) 상태를 유발하며,
허혈: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이 제한을 받아 물질대사에
필요한(조직이 생존하는데 필요한) 산소와 글루코스가 부족해진 상태
이 허혈의 정도와 이후 회복은 암벽 등반가의 능력 그룹 및
종목을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훈련 가능한 특성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손가락 굴근의 피로 저항성(fatigue resistance)은
등반 성능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간주되며,
등반가들이 손가락 굴근 훈련을 위해 '핑거보드(fingerboard)'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암벽 등반가의 최대 손가락 굴근 강도(maximal finger flexor strength)를
결정하는 방법은 문헌에 설명되어 있지만,
최근까지는 기능적 유산소 대사 능력(aerobic metabolic capacity)을 결정하고
안정 상태와 비안정 상태를 구분하는 테스트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우리 연구 그룹은 최근 암벽 등반가의 손가락 굴근에서 임계 힘(critical force, CF)을
결정하기 위한 세션 기반 힘-시간 모델의 민감성에 대한 첫 번째 데이터를 발표했으며,
CF 이상에서 완료될 수 있는 작업 용량을 W’라고 명명했습니다
(종종 "에너지 저장(energy store)" 구성 요소로 설명됨).
CF는 V̇O2와 무기 인산염(inorganic phosphates)의
평형 상태로 특징지어지는 대사적 안정 상태를
여전히 초래하는 최대 힘 출력입니다.
우리의 논문은 대부분의 클라이밍 체육관에서
등반가와 코치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
CF를 결정하기 위한 간단한 테스트의 민감성을 입증했습니다.
그러나 테스트의 기반이 된 '전통적인' 방법은 피험자가
여러 날에 걸쳐 다양한 일정한 작업 부하에서 탈진할 때까지 운동해야 하며,
그 결과 반복 가능성이 낮고 항상 편리하거나 실용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잠재적인 대안 접근법은 ' all-out' 테스트를 사용하여 CF를 식별하는 것입니다.
임계 (critical power, CP; CF의 등속성 등가물) 개념에 따르면,
W’가 완전히 소진되면(0으로 감소), 가능한 최대 출력은 CP가 됩니다.
즉, W’를 완전히 소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남은 출력은 CP와 같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Coats와 Rossiter는 CP가 피로를 유발하는
사이클 운동(즉, W’가 소진되는 운동) 후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출력이라고 언급했습니다.
3분 사이클링 테스트에서 저자들은 피험자에게 W’를 소진하기 위해
힘 소진 노력을 수행하도록 요청했으며, 그 후 유지된 힘은 CP와 같았습니다.
이는 이전에 종단 테스트 (end-test power, EP)이라고 불렸습니다.
CP와 EP 사이의 동일한 관계는 등척성 작업에서도 사실로 입증되었으며,
따라서 CF도 마찬가지입니다.
등척성 단일 회차, 소진 CF 테스트는 핸드그립
다이나모미터(handgrip dynamometry)를
다이나모미터: 기계적인 힘, 스피드, 파워 등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
여기서는 힘을 측정할 수 있는 행보드 등이 될 거 같습니다
사용하여 전완을 포함한 여러 협력 근육 그룹 및
운동 양식에 대해 검증되었습니다.
그러나 손잡이 다이나모미터가 등반 성능에 대한
특이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등반가의 손가락 굴근 CF(finger flexor critical force, ff-CF; CP의 힘 유사체)에
대한 모든 테스트는 스포츠에서 발견되는
작업 대 휴식 비율과 손 및 신체 위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등반에
특화된 최대 노력 리드미컬한 등척성 핑거보드 테스트를
사용하여 ff-CF를 추정하고,
1) CF와 W’가 자기 보고된 스포츠 클라이밍(더 길고 지구력 중심) 및
볼더링(짧고 강력한) 클라이밍 성능의 변동성을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2) 성별을 조정하면서 CF와 W’의 결합 기여가 클라이밍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며,
3) 최대 등척성 손가락 굴근 강도와 CF 사이에 관계가 있는지 평가하는 것입니다.
3.방법
대상자
중급에서 상급 엘리트 수준의 능력을 가진 129명(여성 61명, 남성 68명)의
활발한 등반가들이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했습니다(IRCRA 등급 척도에 따라).
대상자는 클라이밍에 특화된 전완 훈련과 핑거보드를 사용한 전완 운동에
익숙하며(지난 3개월 동안 최소 월 3회), 부상이 없고 근골격계, 심혈관계
또는 호흡기 질환이 없는 사람들로 모집되었습니다.
참여 전에 서면 동의서와 건강 설문지를 작성했습니다.
데이터 수집 전에 더비 대학교 인간 과학 연구 윤리 위원회로부터
기관 윤리 승인을 받았으며, 모든 절차는 헬싱키 선언의 원칙에 부합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NP0DN/btsL4MVAbod/rNaXdtim7l4960m7k1P5IK/img.png)
자기 보고된 등반 능력
대상자들은 볼더링(짧고 강력한 등반)과 스포츠 클라이밍(더 길고 지구력 중심의 등반)
모두에 대해 데이터 수집 6개월 전까지 세 가지 다른 루트에서 세 번의 성공적인 등반을
완료한 레드포인트(RP) 등급을 보고했습니다.
또한 대상자들은 가장 많이 연습한 종목 형태로
선호하는 종목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했습니다.
자기 보고된 등반 능력의 타당성은 Draper, Dickson에 의해 이전에 확립되었으며,
데이터는 IRCRA의 지침에 따라 수집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스포츠 및/또는 볼더링의 선호하는 종목에 따라 그룹에 할당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a) 단일 전문화를 나타내거나,
(b) 하나의 등급만 보고하거나,
(c) 단일 종목을 연습하는 데 75% 이상의 시간을 보낸 경우 단일 종목에 할당되었습니다.
등반가가 두 종목 모두에서 26%에서 74%의 시간을 보낸 경우,
두 등급 간의 차이가 ± 세 IRCRA 등급을 초과하지 않는 한 두 그룹에 포함되었습니다.
그 결과, 볼더링 하위 그룹은 76명, 스포츠 클라이밍 하위 그룹은 8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32명은 두 데이터 세트에 포함되었습니다.
등급 범위는 스포츠 그룹의 경우 12에서 28 IRCRA(프랑스 등급 척도: f6a+에서 f8c+),
볼더 그룹의 경우 16에서 27 IRCRA(버민 등급 척도: V3에서 V12)였습니다.
설계
암벽 등반가의 단일 '전력 소진' ff-CF 테스트와의 연관성을 결정하기 위해,
대상자들은 최대 등척성 손가락 굴근 강도(MIFS)와
전력 소진 ff-CF 테스트를 완료하고
등반 이력과 능력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세부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대상자들은 테스트 전 24시간 동안 무거운 운동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휴식을 취한 상태로 평가를 받았으며,
평가 전 3시간 동안 음식과 카페인 음료를 섭취하지 않았습니다.
평가 전에 각 대상자는 건강 이력, 동의서, 인구통계학적 데이터 및
자기 보고된 레드포인트 등반 능력을 제공했습니다.
대상자들은 평가의 목적에 대해 설명을 들은 후 개인 워밍업을 완료하고,
표준화된 워밍업을 수행했으며, 손 위치와 간헐적 테스트 프로토콜에 익숙해졌습니다.
완료 후, 그들은 전력 소진 ff-CF 평가에 참여했습니다.
방법론
데이터 수집
모든 MIFS 및 ff-CF 평가는 20mm 깊이의 엣지와 10mm 반경이
장착된 클라이밍 전용 다이나모미터에서 수행되었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80Hz의 주파수로 기록되었습니다.
각 평가 전에 다이나모미터는 보정되었으며,
각 테스트 사이에는 0kg으로 초기화되었습니다.
힘은 이전 문헌과의 비교 용이성과 코치 및
등반가의 해석 용이성을 위해 뉴턴이 아닌 kg으로 표시됩니다.
손과 신체 위치
모든 테스트는 한 손으로 하프 크림프(half-crimp) 자세에서 수행되었습니다
(근위지관절[PIP]에서 90° 굴곡, 엄지손가락은 그립에 관여하지 않음).
Baláš, Panáčková에 따라, 대상자들은 지배적인 팔을
머리 위로 뻗은 상태(~170에서 180° 어깨 굴곡)에서
팔꿈치를 약간 구부리고 어깨를 사용하여 '매달리도록' 지시받았습니다.
신체 위치는 어깨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가슴을 손잡이에 직각으로 두며,
테스트 중인 손과 같은 발을 다른 발 앞에 두도록 요청하여 제어되었습니다.
MIFS 및 ff-CF 테스트 모두에서
대상자들은 손잡이에서 '당기지 않고' '매달려'
가능한 한 많은 힘을 발휘하도록 지시받았습니다.
대상자가 자신의 체중에 가까운 또는
그 이상의 힘을 생성할 수 있는 경우,
그들이 발을 땅에 두고 있을 수 있도록
허리에 클라이밍 하네스를 착용하고 추가 중량을 추가했습니다.
워밍업
평가 프로토콜을 시작하기 전에 모든 대상자는
5분간의 맥박을 올리는 활동(걷기, 조깅, 스킵 등), 5분간의 등반,
그리고 테스트 엣지에서 하프 크림프(half-crimp) 자세로
최대 인지 힘의 50%와 75%로 7:3의 작업 대 휴식 비율로 매달리는
일련의 표준화된 자가 주도 워밍업을 완료했습니다.
최대 등척성 손가락 강도(MIFS) 결정
MIFS는 손잡이에서 한 손으로 5초 동안
최대 등척성 수축을 세 번 수행하여 결정되었습니다.
지배적인 팔만 테스트되었습니다.
각 시도 사이에 120초의 휴식이 제공되었으며,
이는 프로토콜의 광범위한 테스트를 기반으로 충분하다고 판단되었고,
이전 문헌에 문서화되어 있습니다.
힘(kg)과 시간(s) 데이터는 전체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최대 힘 데이터는 절대 단위(kg)와 체중 대비 비율(%)로 보고됩니다.
손가락 굴근 임계 힘(ff-CF) 결정
CF의 결정은 Kellawan과 Tschakovsky의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며,
손가락 굴근의 피로 유발 근육 작용을 포함합니다.
ff-CF는 반크림프 자세에서 7:3의 작업 대 휴식 비율로 손잡이에서
리드미컬한 등척성 최대 자발적 수축을 수행하여 결정되었습니다.
'작업' 단계 동안, 대상자들은 반크림프 자세를 유지하면서 가능한
한 많은 힘을 발휘하도록 지시받았습니다. '휴식' 단계 동안,
표준화를 위해 대상자들은 해부학적 자세를 취하도록 지시받았으며,
이 동안 등반 초크를 사용할 수 있었지만 전완이나 손을 흔들 수는 없었습니다
(손을 흔드는 것은 회복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테스트 동안, 대상자들은 화면에 지속적으로 표시되는
자신의 힘 출력을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 대상자들은 각 최대 자발적 수축 동안 '정사각형 파형'을 달성하고,
팔을 '당기지 않고' 전완의 근육만 사용하도록 구두로 격려받았습니다.
힘(kg)과 시간(s) 데이터는 전체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기록되었습니다.
모든 테스트에 대해 각 수축의 길이(s), 최대 및 평균 힘(kg),
힘-시간 충격(kg•s)이 결정되었습니다
. CF는 테스트의 마지막 6회 수축(마지막 60초)을 사용하여
평균 종료 테스트 힘으로 정의되었습니다.
종료 테스트 힘 계산에 수축을 포함하기 위해
1 표준편차(SD) 컷오프가 사용되어,
소수의 평가에서 발생한 미끄러짐이나
손 위치 조정으로 인한 오류 수축의 영향을 줄였습니다.
W′는 ff-CF 테스트 동안 종료 테스트 힘 이상에서
측정된 충격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초기 ff-CF 평가는 30회 수축(5분; n = 46)으로 구성되었으나,
대상자들이 24회 수축(4분; n = 83) 후 종료 테스트 힘 출력에서
평형 상태를 달성할 수 있음을 관찰했습니다.
테스트의 최대 특성과 대상자들에게 최대 수축을 완료하도록
요청할 때 발생하는 불편함, 그리고 극도로 피로한 상태에서
최대 수축을 수행할 때 부상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이후 평가(n = 83)의 테스트 시간을 4분으로 줄이기로 결정했습니다.
제시된 데이터는 5분 및 4분 테스트의
마지막 60초에서 종료 테스트 힘을 사용하지만,
모든 평가에서 데이터를 4분으로 자르는 것은
실질적으로 다른 결과를 생성하거나 논문의 결론을 변경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5분 테스트의 경우 4분 및 5분 종료 테스트 힘 간의 일치는 좋았으며(ICC = 0.650),
작은 긍정적 편향(+1.6 kg [LoA of -1.9 to 5.2 kg])만 있었습니다.
우리는 이 긍정적 편향이 대상자들이
테스트의 남은 시간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비자발적 페이싱 요소 때문이라고 추측합니다.
이러한 고려 사항을 감안하여, 각 해당 테스트의
마지막 60초 데이터를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유사한 손잡이 ff-CF 프로토콜의 신뢰성은 Kellawan과 Tschakovsky에 의해
우수한 테스트-재테스트 신뢰성(n = 10)과
작은 피험자 내 테스트-재테스트 변동(변동 계수 6.8%),
테스트-재테스트 그룹 평균의 작은 변화(일반 오류 15.3 N, 5.5%),
높은 테스트-재테스트 상관(Pearson 상관 계수(r) = 0.91,
클래스 내 상관 계수(ICC) = 0.94, p = 0.01)로 입증되었습니다.
우리 연구실의 ff-CF 파일럿 데이터(n = 7)도 작은 편향
(CF: 평균 차이(MD) = -0.03 kg, 일치 한계(LoA) = -2.45에서
2.4 kg; W’: MD = -139 kg•s, LoA = -976 – 698 kg•s)과
함께 우수한 테스트-재테스트 신뢰성을 보여주었으며,
우수한 신뢰성을 위한 ICC 기준 값(0.75)을 충족했습니다(CF ICC = 0.96; W’ ICC = 0.87).
통계 분석
정규 분포는 빈도 히스토그램의 시각적 평가와
Shapiro–Wilk 테스트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모든 값은 평균 ± SD로 보고됩니다.
모든 분석은 SPSS 통계 소프트웨어 패키지
(IBM SPSS statistics, release 25, 2017, 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생리학적 반응(CF, 체중 대비 CF %, W’ 및 체중 대비 W’)이
자기 보고된 스포츠 및 볼더링 등반 성능을 예측하는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일련의 선형 회귀 분석이 수행되었습니다.
생리학적 반응은 성별 공변량(여성은 1, 남성은 0으로 코딩)
조정 여부에 따라 독립 변수로 별도의 모델에 입력되었으며,
체중 대비 CF %와 체중 대비 W’의 결합 모델도 계산되었습니다.
5.결과
ff-CF 테스트 특성
모든 대상자는 CF 테스트를 완전히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거의 모든 경우에, 힘은 평형 상태로 감소했으며,
전형적인 예는 그림 2에 나와 있습니다.
소수의 경우는 이 전형적인 패턴에 맞지 않았으며,
테스트 전반에 걸쳐 힘이 약간만 감소하거나
종료 테스트에서 상당한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제외되었습니다(n = 8).
주목할 점은 이 대상자들이 모두 낮은 능력 수준으로,
IRCRA 척도에서 RP 등급이 15 미만(f6c)이었으며,
더 긴 5분 평가(n = 4)와 짧은 4분 평가(n = 4)
모두에서 관찰되었습니다.
대상자들은 156.9 ± 47.1초 내에 평형 상태
(종료 테스트 힘의 10% 이내로 정의)에 도달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li7I/btsL3ABL87s/28NUwd396eKyzqzFICmK80/img.png)
ff-CF, W’와 자기 보고된 등반 능력 간의 연관성
선형 회귀 분석(표 2 및 그림 3)은 생리학적 변수와
자기 보고된 능력 간의 연관성이 체중 대비 백분율로 표현될 때
가장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간결성을 위해 이들만 논의하겠습니다.
체중 대비 CF %는 스포츠와 볼더링 성능
모두와 긍정적으로 연관되었습니다.
성별 차이를 조정한 후, CF가 1% 증가할 때
스포츠 클라이밍 등급(IRCRA)이0.292(95% CI: 0.236에서 0.347) 증가하고,
볼더링 등급(IRCRA)이 0.174(95% CI: 0.089에서 0.25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p < .0005).
설명된 분산 비율(R²)은 스포츠와 볼더링 종목에서 각각 61%와 26%였습니다.
체중 대비 W’는 스포츠 클라이밍 성능과 연관되지 않았지만,
볼더링 성능과 긍정적으로 연관되었습니다. 성별 차이를 조정한 후,
체중 대비 W’가 1 kg·s 증가할 때
볼더링 등급(IRCRA)이 0.182(95% CI: 0.112에서 0.25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p < .0005). 설명된 R²은 34%였습니다
. 체중 대비 CF %와 체중 대비 W’의 결합 모델은 성별 차이를 조정한 후
스포츠 클라이밍과 볼더링 모두에서 유의미한 모델을 생성했으며,
설명된 R²은 스포츠에서 66%, 볼더링 성능에서 44%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Z6tNp/btsL4KKbaZl/KKuEIMgXQKDtQkzU10ys7k/img.png)
ff-CF, W’와 최대 MIFS 간의 연관성
MIFS 최대 힘과 CF(R² = 0.301; p < 0.0005) 및
W’(R² = 0.445; p < 0.0005) 모두와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었습니다.
이는 그림 4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성별을 공변량으로 입력했을 때
두 변수 모두의 관계 강도가 증가했습니다
(ff-CF와 W’의 경우 각각 R² = 0.585, p < 0.0005 및 R² = 0.613, p < 0.0005).
등반 훈련 및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운동 강도인 40% MVC와
CF 간의 관계 강도는 그림 4c에 나와 있습니다(R² = 0.300; p < 0.0005).
6.논의
이 연구의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손가락 굴근(finger flexor)의 '반크림프(half-crimp)' 자세에서
리드미컬한 등척성 최대 자발적 수축으로 구성된 ff-CF 프로토콜은
등척성 임계 토크(critical torque) 및 CF 테스트에서
관찰된 것과 동일한 힘 감소를 평형 상태로 나타냈습니다.
2) ff-CF와 자기 보고된 등반 능력 간의 연관성은
특히 체중 대비 값으로 표현될 때 우수했습니다.
체중 대비 ff-CF와 체중 대비 W’의 결합 모델은 스포츠 클라이밍과
볼더링 모두에서 유의미한 모델을 생성했으며, 성별 차이를 조정한 후
모델의 R²은 스포츠에서 66%, 볼더링에서 44%였습니다.
3) MIFS와 ff-CF 및 W’ 모두 간에 강한 연관성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등반가의 CF와 W’를 식별하기 위한
ff-CF의 전력 소진 테스트의 사용과 적용 가능성을 뒷받침합니다.
각 테스트에서 힘이 평형 상태로 감소하는 것은,
전력 소진 테스트를 포함한 운동 양식 전반에서 일관되게 나타났습니다
. 본 연구의 대상자들이 평형 상태에 도달하는
평균 시간은 157초(~16회 수축)였습니다.
그러나 수행된 129개의 ff-CF 테스트 중 소수(n = 8; 6%의 대상자)는
전형적인 패턴에 맞지 않았으며, 힘이 약간만 감소하거나
종료 테스트에서 상당한 변동성을 보였고, 결과적으로 분석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주목할 점은 이 대상자들이 모두 낮은 능력 수준으로,
IRCRA 척도에서 스포츠 등급이 15 미만(<f6c)이고
볼더링 등급이 19 미만(<Font 6B+)이었습니다.
이 테스트는 낮은 능력의 등반가에게는 적절하지 않으며,
이들은 아마도 스포츠에 새로 입문한 사람들로,
현재 이와 같은 테스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능력이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테스트가 적절한 사람들에게는 7:3의 작업 대 휴식 비율을 사용할 때
4분 테스트를 권장하며, 다른 작업-휴식 비율에 대한
적절한 테스트 시간을 예측할 수는 없지만,
덜 빈번하고/또는 짧은 수축은 W’를 완전히 소진하기 위해
더 긴 테스트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손가락 굴근의 피로 저항성은 최대 힘 생산과 함께
신체적 등반 성능을 설명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자주 언급됩니다. 그러나 MVC의 백분율(일반적으로 40% 또는 60%)에서
수행된 간헐적 소진 테스트는 극단적인 능력의 등반가
(즉, 비등반가와 엘리트 능력자) 간의 차이만을 보여주었으며,
작은 능력 차이24, 25가 있을 때나 종목 간의 차이는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 또한, 우리가 아는 한, 간헐적 수축 동안의 소진 시간과
자기 보고된 등반 능력 간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등반가의 ff-CF에 대한 단일 세션 전력 소진 평가의
실현 가능성을 처음으로 입증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능력 범위에서 손가락 굴근의 피로 저항성의 중요성을
처음으로 보여주었습니다. 성별 차이를 조정한 후 결합 모델은
스포츠에서 67%, 볼더링 성능에서 47%를 설명했습니다(R²).
ff-CF와 W’의 상대적 기여도의 차이도 종목 간에 관찰되었으며,
스포츠 클라이밍에서는 ff-CF가, 볼더링 성능 모델에서는
W’가 더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
스포츠 클라이밍의 더 길고 지구력 중심의 특성을 고려할 때,
높은 CF가 제공하는 피로 저항성은 직관적이며,
마찬가지로 더 큰 에너지 저장 구성 요소인 W’와 상대적으로
낮은 CF는 짧고 강력한 볼더링의 양식에 적합합니다.
등반가의 MVC 백분율에서 간헐적 수축을 사용한 소진 테스트는
손가락 굴근의 운동 능력을 조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성공은 다양했습니다.
이전 연구의 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이유로 향후 연구에서 종속 변수로 ff-CF 또는
ff-CF의 백분율을 기반으로 한 운동 강도를 사용하는 것이
가치가 있을 것입니다.
첫째, MVC의 백분율이 대사적 운동 강도 영역과
관련이 없다는 것이 잘 확립되어 있습니다.
둘째, 훈련받지 않은 피험자와 달리, 체중 대비 CF와 MVC 간의 관계가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는 인과 관계가 아닐 가능성이 높지만,
많은 연구에서 일반적인 40% MVC 강도로 운동을 처방하면
일부 개인은 <CF 강도로 작업을 수행하고
다른 사람들은 >CF 강도로 작업하여 극적으로
다른 운동 강도 영역에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문제는 이전의 두 팔 데이터와
본 연구의 단일 팔 데이터에서도 입증되었으며,
이는 이 발견을 명확히 뒷받침합니다.
따라서 향후 ff-CF 테스트는 MVC를 기반으로 한 운동 강도의
잠재적 혼란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운동 강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어야 합니다.
이 연구는 단일 팔 등척성 CF와 W’를 결정하기 위한
등반에 특화된 방법의 개발에 있어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지만,
몇 가지 제한 사항을 인정해야 합니다.
(1) 설명된 방법은 ff-CF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팔을 머리 위로 뻗고 어깨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등반에
특화된 테스트 위치를 고려할 때, 성능은 부분적으로
다른 근육 그룹의 힘과 지구력 특성에 의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두근과 어깨 거들. 손가락 굴근의
상대적 개별 기여도(예: 팔 고정 사용) 및/또는
상완과 어깨 거들(예: 손가락 굴근이 제한 요인이 아닌 큰 홀드/엣지 사용)을
확립하는 데 가치가 있을 것입니다.
(2) 필연적으로, ff-CF 테스트는 최대이며
설정된 작업-휴식 비율로 수행되지만,
이는 스포츠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강도와 수축 길이를
완전히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간헐적 운동을 기반으로 한 테스트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설명된 방법론을 사용하려는 사람들은
7:3 s 작업-휴식 비율로 4분 테스트가 적절하지만,
덜 빈번하고/또는 짧은 수축은 더 긴 테스트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상기해야 합니다.
(3)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 보고된 능력과 CF 및 W’ 간의
연관성에 대한 설득력 있는 데이터를 제시하지만,
(a) 제시된 결과와 여러 일정한 작업률 테스트를 통해
확인된 CF 및 W’와의 일치를 검증하고,
(b) CF 및 W’와 자기 보고된 능력 간의 관계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변수를 결정하며,
(c) 이러한 특성의 훈련 가능성을
확립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7.결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단일 팔 등척성 CF와 W’를
결정하기 위한 등반에 특화된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며,
암벽 등반 성능에서 손가락 굴근의 피로 저항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안정적인 종료 테스트 힘에 도달할 수 있었던 대다수의 경우,
체중 대비 ff-CF와 체중 대비 W’는 스포츠 클라이밍과 볼더링
모두에서 유의미한 모델을 생성했습니다.
ff-CF의 명확한 관련성과 MVC 백분율에서 수행된 소진 테스트의
결론적이지 않은 결과로 인해, 운동 강도는 CF에 상대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고 권장합니다. ff-CF와 W’가 등반가에서
훈련 가능한 특성인지 여부와 ff-CF 종료 테스트 힘에
상대적으로 결정된 운동 강도를 기반으로 한 개입의 효능을
결정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8.실용적 적용
장비가 있는 경우, 설명된 최대 등척성 ff-CF 프로토콜은
연구자와 코치에게 매우 관련성이 높고 빠르게 관리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제공합니다. 우리는 이전에 대부분의 클라이밍 체육관에서
찾을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 CF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했으며,
다이나모미터가 없는 경우 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전력 소진 ff-CF 방법은 더 빠르고,
하나의 소진 테스트만 필요하기 때문에 더 신뢰할 수 있으며,
수축 지속 시간, 충격, 최대 및 평균 힘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 그 요구가 높은 특성으로 인해,
우리는 ff-CF를 고급 평가로 권장하며,
최소한 스포츠 f7a 및 볼더 F6C의 높은 능력을 가진 등반가와
함께 완료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클라이밍과 볼더링 능력
모두에 대한 관련성을 고려할 때, 우리는 코치들이 운동 내성을 이해하고
최적의 훈련 처방을 결정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테스트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감사의 말
이 연구에 대한 자금 지원은 받지 않았습니다.
몇몇 저자가 클라이밍 코칭 및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Lattice Training Ltd.에 고용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합니다.
나머지 저자들은 선언할 경쟁 이익이 없으며,
연구 결과가 명확하고 정직하게, 조작 없이 제시되었음을 주장합니다.
'논문 해외자료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번역]스포츠 클라이밍 중 손가락 활차의 스트레스 분포(그립 종류에 따른 활차 부하) (0) | 2024.12.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