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해외자료 번역

[논문리뷰]리드 클라이밍의 그레이드에 영향을 주는건 무엇이 있을까?

감자000 2025. 5. 17. 09:31

안녕하세요 클라이머 감자🥔입니다

반응형

내용 요약 

리드를 잘하려면 최대 그립도 중요하지만 지구력과 Critical force도 중요하다 

우선순위로 보면 Critical Force > 지구력 > 최대 그립 

 

논문 정보

 

 

  • 제목: Determinants of Climbing Performance: When Finger Flexor Strength and Endurance Count
  • 저자: Faggian et al.
  • 발표 연도: 2018
  • 학술지: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 논문 링크: PubMed에서 보기

 

 

 

오늘의 주제는 리드 클라이밍의 그레이드는 

어떤 것에 영향을 받을까 입니다. 

그 중에서 특히 "손가락"에 대한 내용입니다 

 

시작에 앞서 간단히 얘기드리고 가자면, 

예전에도 포스팅했던 Critical force에 연장선입니다 

 

 

 

 

이전 글 보기 

2025.02.03 - [논문 해외자료 번역] - [논문번역]An All-Out Test to Determine Finger Flexor Critical Force in Rock Climbers

2025.02.03 - [트레이닝] - [해외자료번역]Critical Force is (probably) your ticket to sport climbing harder: napkin data analysis

2025.02.03 - [트레이닝] - 리드 실력을 결정하는 요소: Critical force

 

 

손가락은 클라이머에게 중요한 능력입니다. 

물론 상체 힘이나 기타 협응력 역시 중요하지만 

홀드를 잡고 버티는 것은 결국 손가락이기 때문이죠 

 

손가락을 크게 두 분류로 나눠보면 다음과 같을 겁니다.

 

 

얼마나 강하게(혹은 무거운 무게를) 잡을수 있는지 


얼마나 오래동안 잡고 있을 수 있는지 

 

 

 

전자는 최대 근력에 관한 얘기입니다. 

여기서는 뭉뚱그려서 얘기했지만, 사실 좀 더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홀드의 사이즈(몇 mm인지)가 어느 정도인지 어떤 그립인지 등도 

중요하겠지만요 

 

후자의 경우는 지구력과 관련이 있을겁니다. 

여기서도 좀 더 깊이 들어가보면 

휴식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등등 

여러가지 요소가 있을겁니다. 

 

특히 최근 클라이밍에 대한 연구가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그레이드에 대한 연구들도 꽤 진행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 중 하나인 논문을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1. 연구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클라이머의 그레이드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신체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특히 max finger strength와 endurance가 그레이드와 얼

마나 밀접하게 연관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습니다.

 

2. 연구 대상자

 

총 49명의 남성 참가자를 세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습니다:

 

그룹  인원수  클라이밍 경험  그레이드
상급 클라이머 17명 평균 7년 이상 7c 이상 (5.12d+)
중급 클라이머  17명 평균 3~5년 6a (5.11d)
비 클라이머 15명 없음 해당 없음

 

모든 클라이머는 최근 6개월간 최고 redpoint 기준으로 분류되었으며, 모두 리드 클라이머였습니다.

 

3. 실험 방법

 

다음과 같은 테스트가 시행되었습니다:

  1. max finger strength 측정 – 클라이밍 특화 장비로 체중 대비 최대 손가락 굴곡근 힘 측정
  2. dead hang endurance – 클라이밍 특화 그립 장비에 매달려 버틸 수 있는 시간 측정. 
  3. intermittent isometric contraction test (E1/E2) – 20회 반복 수축 수행. E2는 dead hang 이후 피로 상태에서 수행. 

(수행 시 사용된 그립의 형태 및 크기는 명시되어 있지 않음)

 

특히, 3번의 경우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이미 아실수도 있고

이전 포스팅을 통해 아셨을 수도 있지만 

Critical forc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모르셨던 분들을 위해 간략히 얘기드리면 

아무리 힘들어도 낼 수 있는 힘 정도로 

이해해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4. 결과 요약

 

 4.1 max finger strength (% 체중 기준)

 

  그룹 평균 ± SD
상급 클라이머 59.90 ± 9.42 %BW
중급 클라이머 46.75 ± 8.40 %BW
비 클라이머 36.40 ± 6.51 %BW

 4.2 dead hang endurance 

 

  그룹 평균 ± SD
상급 클라이머 58.55 ± 14.87초
중급 클라이머 32.55 ± 16.87초
비 클라이머 17.20 ± 14.30초

 

4.3 performance after intermittent contraction (E2)

 

그룹 평균 ± SD
상급 클라이머 44.71 ± 13.96 %BW
중급 클라이머 28.83 ± 10.94 %BW
비 클라이머 17.36 ± 8.37 %BW
  • ADV 그룹이 피로 상태(E2)에서도 가장 높은 힘 유지율을 보임

 

4.4 그레이드와의 상관관계

 

지표 상관계수 r  p값
max finger strength 0.60 < 0.0001
dead hang endurance 0.69 < 0.0001
E2 performance 0.74 < 0.0001

 

예전에도 언급한 적이 있었지만,

r값이 높을 수록 큰 상관관계가 있다 정도로 해석하면 될것 같습니다. 

 

5. 결론 및 해석

  • max finger strength와 finger endurance는 클라이밍 퍼포먼스를 강하게 예측하는 요소입니다.
  • 특히 E2 performance 이 클라이머의 실제 퍼포먼스를 가장 잘 설명합니다.
  • 전통적인 handgrip dynamometer test보다는 클라이밍 특화된 측정법이 훨씬 더 정밀한 평가 지표입니다.

handgrip dynamometer test은 본문에는 명확히 명시되어 있지만 않지만, 

악력기 측정이나 혹은, 유사한 측정 방식으로 이해해주세요 😄

 


본 연구는 단순한 힘이 아닌 리드 클라이밍 상황에서의

endurance와 피로 저항력(= Critical force)의 중요성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