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닝

리드 실력을 결정하는 요소: Critical force

감자000 2025. 2. 5. 09:06

안녕하세요 클라이머 감자🥔입니다

반응형

지난 글 보기 

2025.02.03 - [분류 전체보기] - [논문번역]An All-Out Test to Determine Finger Flexor Critical Force in Rock Climbers

2025.02.03 - [분류 전체보기] - [해외자료번역]Critical Force is (probably) your ticket to sport climbing harder: napkin data analysis

 

지난 두 포스팅에서 두 개의 글을 

소개해드렸습니다 

두번째 글의 경우에는 첫번째 논문을 통해서 

개인적인 분석을 해준 포스팅이었는데요 

정리가 잘 되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오늘은 Critcal forc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Critical force(임계 힘)  

우리가 등반을 하다보면, 결국 전완의 힘이 고갈되고 

이전에는 쉽게 잡을 수 있던 홀드를 잘 잡을 수 없는

상황이 생깁니다. 

이렇게 되면 이유는 운동을 지속하다보면, 근육의 

피로에 의해서 원래 낼 수 있었던 힘을 낼 수 없는

상황에 도달하는 것인데요

Critical force는 근육이 피로를 느끼지 않고 

낼 수 있는 최대 힘입니다. 

그러니까 아무리 힘들어도 이정도의 힘을 낼 수 있는

최대점이라고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후술하겠지만, 이 능력이 리드 등반에서 레드포인트 

등급을 평가하는데 꽤나 상관관계가 높은 요소입니다. 

 

 2.Critical force 평가방법

주의점 

리드에서 보통 많이 하는 팔을 흔드는 자세는

근육의 회복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금지입니다 

 

하프 크림프로 행보드에 발을 대고 선 후  

최대 힘으로 땡깁니다(7초) 

이 후 3초간 휴식한 후 이를 24회 반복합니다. 

이때, 당겨지는 힘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있어야합니다 

(ex. Tindeq) 

이를 계속 반복하면 힘이 어느정도 평형 상태에 

도달하게 되는데 

마지막 6회에서 발생한 힘을 평균내어 

Critical force를 계산합니다 

 

Tideq 같은 경우에는 critical force를 계산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이용하는것이 가장 좋을 것 같네요 

 

Tindeq이 없다면 블루투스로 데이터를 로그할수 있는

저울등을 사용하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3.Critical force와 등반 실력의 연관성 

 

 

 

스포츠 클라이밍의 레드 포인트에서 

굉장히 큰 상관 관계를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체중 대비 Critical force는 결정계수 R^2가 0.604

정도였는데 큰 상관관계가 있다고 얘기할 수 있었습니다. 

 

볼더링에서는 상관 관계가 떨어졌습니다. 

참고한 논문에서도 나오지만 다른 신체 능력이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위의 표는 이걸 정리한 데이터입니다. 

맨 아래의 median(중위값)을 보시면 

그레이드에 따라서 유의미하게 증가하는것을 보여주었습니다. 

14급의 클라이머들은 46%의 힘을 계속 낼수 있다는게 

놀랍네요(한팔 기준입니다

 

4.마무리 

오늘은 Critical force에 대한 포스팅을 했습니다. 

CF는 스포츠(리드) 등반에서 레드 포인트에 

상당히 큰 영향을 주는 요소입니다. 

 

스포츠 등반에서 실력을 올리시고 싶은 분들은 

어느 방향으로 훈련을 해야하는지  

특히 리드 그레이드의 상승을 노리신다면 

어떤 방향을 향해서 훈련을 해야하는지 

대략적인 방향을 알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될것 같습니다. 

 

오늘도 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