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인체공학적 핑거보드(ergonomic finger board)

감자000 2025. 2. 6. 09:22

안녕하세요 클라이머 감자🥔입니다

반응형

1.손가락의 부하 불균형

 

사람의 손가락 길이는 검지부터 시작해서 소지까지 

모두 다른 길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사람에 따라서 이 길이의 비율마저 다릅니다. 

 

 

예를들어 어떤 사람은 검지가 약지에 비해서 짧기도하고 

반대의 사람들도 존재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중지가 가장 긴 길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홀드를 잡을 떄 중지가 가장 큰 관절각으로 

체중을 지탱하게 됩니다. 

예전에 관련 포스팅을 한 적이 있었는데 

큰 관절 각도 = 높은 부하를 의미합니다. 

 

중지가 가장 부상을 많이 겪게 되는 것은 이러한 이유 떄문입니다.

비슷한 이유로 남성들의 경우에는 약지가 보통 더 긴 편인데, 

중지 다음으로 약지 부상이 흔한 편입니다

 

 

 

2.인체공학적 핑거보드(Ergonomic fingerboard) 

이러한 손가락 부하의 불균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최근에 많이 보이고 있는 제품들이 인체공학적 핑거보드입니다 

 

위의 제품은 Tension board를 만든 회사인 Tension climbing의 Ergo edge라는 제품입니다. 

 가장 긴 중지 부분이 상대적으로 더 올라와 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트레이닝을 진행할 때 중지도 다른 손가락과 

비슷한 관절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3.효과 

 

3.1 장점 

그렇다면 이렇게 관절각도를 유지해주었을 때 

장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중지 손가락의 부담 감소 

 

당연하게도 중지 손가락에 가해지는 상대적인 부담이 감소합니다 

우리가 트레이닝을 할 때 강해지고 싶지 부상을 겪고 싶지는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중지의 부상을 겪은 적이 있는 분이라면 

일반적인 행보드에 비해 여러가지 이점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클라이밍은 근육의 강도와 회복를 포커스에 두고 훈련을 하기보다는 

인대의 회복에 좀 더 초점을 두고 운동을 해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중지 인대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키는게  

더 강도 높고 빈도 높은 훈련을 진행하기에 용이하다고 생각합니다 

 

검지 약지의 단련 

 

중지의 부담이 적어진다는 소리는 상대적으로 검지와 약지를 

더 활용한다는 소리입니다.  

균형있는 단련을 통해서 더 안정적인 손가락 훈련을 기대해볼수 있습니다. 

 

3.2 단점

 물론 장점만 있는 훈련법은 없겠죠 

 

일반적인 등반과 괴리감 있는 그립

 

당연하지만 그립이 일반적인 클라이밍과는 괴리감이 있는 편입니다 

보통 저런식의 그립보다는 플랫한 엣지 형태의 홀드가 

더 많이 보이는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4.결론

 

단점도 어느정도 존재하지만 

그래도 손가락에 걸리는 부담 때문에 

트레이닝이 선뜻 망설여지는 분들에게는 

채용해볼만한 트레이닝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추가로, 이걸 3D프린터를 통해서 만드는 법이 

있는데 다음 포스팅에서 얘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한 번 부탁드리겠습니다 

반응형